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리프의 개발 블로그

프로필사진
  • 글쓰기
  • 관리
  • 태그
  • 방명록
  • RSS

리프의 개발 블로그

검색하기 폼
  • 분류 전체보기 (97)
    • 알려주는 이야기 (96)
      • 코틀린 (2)
      • 안드로이드 (43)
      • 기타 (3)
      • 스프링 부트 (16)
      • RxJava (25)
      • Flutter (7)
      • NodeJS (0)
    • 만드는 이야기 (0)
      • 개발 (0)
      • 개발일지 (0)
      • 기획 (0)
    • 말하고 싶은 이야기 (1)
      • 잡담 (0)
      • 컨퍼런스 (0)
      • 서평 (1)
    • 돌아보는 이야기 (0)
      • 회고 (0)
  • 방명록

RxJava (16)
3. RxJava - Observable

Observable 클래스 Observable은 데이터 흐름에 맞게 알림을 보내 구독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RxJava1 에서는 Observable과 Single 클래스를 사용하였지만 RxJava2에서는 Observable을 세분화하여 Observable, Maybe, Flowable 클래스로 구분하여 사용합니다. Observable은 Observer 패턴을 구현합니다. Observer 패턴은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 목록을 객체에 등록하고, 상태 변화가 있을 때마다 메서드를 호출하여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Observer에게 변화를 알려 줍니다. Observed라는 단어가 관찰을 통해서 얻은 결과를 의미한다면 Observable은 현재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이론을 통해서 앞으..

알려주는 이야기/RxJava 2020. 7. 6. 16:57
2. RxJava - 마블 다이어그램

마블 다이어그램은 전체적인 흐름도라고 보면 됩니다. 먼저 flip 다이어그램의 흐름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위에 있는 실선은 Observable의 시간 표시 줄이다. 시간 순으로 데이터가 발행되는 것을 표현합니다. Observable에서 발행되는 데이터는 시간 순서대로 별, 삼각형, 오각형, 원 등의 도형을 발행합니다. 데이터를 발행할 때는 onNext 알림이 발생합니다. 파이프(|)는 Observable에서 데이터 발행을 완료했다는 의미이다. onComplete 알림이 발생합니다. 아래로 내려오는 점선 화살표는 각각 함수의 입력과 출력 데이터이다. 가운데 박스는 함수를 의미합니다. flip함수는 입력 값을 뒤집는 함수여서 모양이 180도 회전이 됩니다. 아래에 있는 실선은 함수의 결과가 출력된 시간 표..

알려주는 이야기/RxJava 2020. 7. 6. 16:06
이전 1 2 3 다음
이전 다음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TAG
  • Spring
  • 환경변수
  •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 jdk설치
  • sharedpreference
  • 안드로이드
  • 자바
  • jdk
  • 영진닷컴
  • Toast메시지
  • rest api
  • intellij
  • TTS
  • 코틀린
  • Jitpack
  • Kotlin
  • AndroidStudio
  • STT
  • RxJava
  • PowerMode
  • Anko
  • VisualStudio
  • 하루 만에 배우는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SharedPreference배열저장
more

Blog is powered by Tistory / Designed by Tistory

티스토리툴바